본문 바로가기

영화리뷰

한국 영화 최초 아카데미 주요 4개 부문 수상 '기생충'

 

봉준호 감독이 메가폰 잡고, 송강호(기택), 이선균(동익), 조여정(연교), 최우식(기우), 박소담(기정), 이정은(문광), 장혜진(충숙), 박명훈(근세)이 출연한 <기생충>이 2019년 5월 30일에 개봉하였다. 러닝시간 131분이다.

 

 

영화 <기생충> 사회 계층에 대해서 이야기하다.

영화 <기생충>은 봉준호 감독, 송강호 주연이면 믿고 볼만한 영화이다. 감독 봉준호는 <살인의 추억>에서 송강호와 함께 한국영화의 빛을 보게 한 감독이다. 두 사람의 인연이 만들어낸 작품들은 모두 관객들로 좋은 반응들을 받았다. 그리고 영화  <기생충>은 출연진이 모두 나름대로 각자의 캐릭터를 가지고 있는 배우들이다. 각각의 역할에서 주연급들이다. 그래서 그들의 연기력에 감탄을 한다. 영화 <기생충>은 우리 사회에 주는 영향력도 상당했다. <기생충>은 웨스 앤더스의 영화와 비슷한 점이 많다고 한다. 자본주의와 물질만능주의, 빈부격차에 대한 비판을 하고 있다. 표면적으로 볼 때 <기생충>은 송강호의 가족이 기생충이다. 송강호의 가족은 이선균을 속여서 온 가족이 그 집으로 들어가서 살게 된다. 각자의 사생활을 존중하면서 서로의 목적을 위해 남을 이용한다. 다른 사람의 감정과 사정은 그들에게는 사치이다. 자신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남을 이용하는 송강호의 가족은 우리 사회의 안타까운 밑바닥 모습을 대변하고 있다.

 

 

아슬아슬하게 숨죽이는 장면에 스릴이 있기도 했다.

이선균의 가족이 아들의 숙제로 외부로 나들이를 나가게 된다. 이때를 기회로 온 가족이 이선균의 집에서 파티를 시작한다. <기생충>에서 가장 재미있는 장면이었다. 송강호의 가족이 누리는 기쁨이 얼마나 좋은지 알 수 있었다. 지하방에 살면서 건축상을 받은 대궐 같은 집에서 최고의 와인과 음식들은 그들의 신분을 잊어버리기에 충분했다. 그렇게 가족들만의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을 때였다. 갑자기 천둥번개가 치면서 소낙비가 내리기 시작한다. 그리고 주인집 가족들이 모두 돌아오게 된다. 갑자기 돌아온 가족들 때문에 송강호 가족은 혼비백산이 되어서 거실 테이블 밑에 숨게 된다. 그리고 이선균 부부는 관계를 가지고 송강호 가족은 모두 그 장면을 보게 된다. 아슬아슬하게 들키지 않았지만 이선균은 그 순간에도 송강호의 냄새를 맡고 그 가족들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웨스앤더슨의 대칭의 미학이 <기생충>에 있다.

웨스앤더슨의 영화는 절묘한 대칭과 아이러니가 유명하다. <기생충>에서도 그런 느낌을 받는 것은 우연이 아닐 것이다. 부자와 가난한 자의 대칭과 상황과 어울리지 않는 상황 음악의 아이러니는 웨스앤더슨이 자주 쓰는 기법이라고 한다. 이선균의 집에 기생하기 위해 송강호 가족은 기생을 위한 작전을 세운다. 남을 속이는 것이다. 기생의 전형적인 스타일이다. 그리고 기존의 있던 기생충을 박멸시킨다. <기생충>에서는 기생충끼리 숙주를 놓고 경쟁하는 구도를 보이기도 한다. 숙주는 이를 모른다. 이미 있던 기생충은 숙주와 조화를 이루고 살고 있다. 이선균 부부가 좋아하는 스타일은 선을 넘을랑 말랑한 정도의 선을 좋아한다. 그러나 기생충은 숙주의 자리를 차지한다. 잠시지만 숙주가 자리를 비운 사이 숙주의 자리에서 술판을 벌인다. <기생충>의 이런 대칭적인 아이러니가 계속해서 나타난다. 이런 점이 웨스앤더슨 영화와 닮았다는 것이다. 사람이 사는 세상에서 돈으로 얽힌 숙주와 기생충의 공존은 <기생충>이 보여주고자 하는 주제이다. 

 

 

결말의 사건

<기생충>의 결말은 비극적인 결말이다. 송강호 가족은 자신의 가족이 기생충이라는 것을 확신시켜준다. 송강호는 무계획이 계획이라는 신념을 가지고 가족들을 기생충으로 만든다. <기생충> 말미에는 이선균을 죽이고 지하실에 숨어 산다. 송강호는 이선균의 사진을 보면서 좋은 사람이었다고 연발한다. <기생충>에서 송강호의 가족이 기생충인 것 같지만 이선균의 가족도 기생충이라는 인상을 남기는 것이 특이한 점이다. 돈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이 본질이다. 돈으로 세상을 지배하고 지배당하는 구조는 우리 사회에 이미 자리 잡은 것은 오랜 일이다. <기생충>에서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우리는 잘 알 수 있다. 그러나 감독이 우리에게 보여주고 싶은 것은 진짜 무엇이었을까? 각자의 생각에 드는 것이 일을 것 같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