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리뷰

진실 밝히는 언론, 모비딕

 

간단한 정보는 알고 보면 더 재미있다.

드라마와 스릴러의 겹합, 박인제 감독, 황정민, 진구, 김민희 주연 영화 <모비딕> 언론이 자유를 빼앗겨 버리면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는 사건들을 파헤치는 이야기. <모비딕>은 대한민국 최초의 국가 음모론을 다른 영화, 시대의 흐름과 잘 맞아떨어지는 작품이었다. 이 영화는 2011년 6월 9일 개봉한 한국영화, 러닝 시간 112분이다. 사실과 허구의 조합이지만 우리고 보고 있는 모든 것이 사실이 아닐 수도 있고, 사실일 수 있다. 언론이 누구의 손에 있느냐에 따라 얼마든지 속일 수도 있고 속을 수도 있다. 언론의 중요성과 언론인의 정체성의 관계에서 서로의 연관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잘 보여주는 영화이다. 

 

 

당신이 보고 있는 것은 진실입니까?

영화는 흑백의 장면으로 시작된다. 영화 배경이 오래전 이야기라는 것을 암시하는 것, 1994년 11월 20일 서울 근교 발암교에서 일어난 의문의 폭발사건. 이 사건을 취재하던 열정적인 사회부 기자 이방우 앞에 어느 날 한통의 전화가 걸려온다. 전화 뒤편에 오래전에 연락이 끊겼던 고향 후배의 목소리가 들린다. 그는 바로 이방우의 고향 후배 윤혁이다. 윤혁은 발암교의 자료들을 건네면서 발암교 사건이 보이는 것과 달리 음모가 있는 사건임을 암시한다. 이후 이방우는 더욱 조사에 집중하게 되고, 사회부 안에 전담으로 특별취재팀까지 꾸려서 취재를 이어나가게 된다. 취재를 해갈 수록 방해하는 느낌이 들기 시작한다. 외부에서 의문의 사건들이 일어나면서 특별취재팀을 압박하고 방해를 한다. 함께 조사를 하던 사람이 의문의 사로고 숨지는 사건도 일어난다. 특별취재팀들이 하나씩 테러를 당하고 조직이 해산할 상황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이방우는 포기하지 않고 기자정신을 발휘하여 점점 더 그 배후에 가깝게 다가간다. 서서히 정체를 드러내기 시작하는 실체는 정부였다. 검은 조직의 배후들, 이들의 정체는 누구이며, 이들이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대한민국 조작하는 검은 그림자, 목숨을 걸고 진실을 밝히는 내부고발자, 그리고 진실을 밝히기 위해 모든 것을 건 기자 이들의 진실을 밝히기 위한 공방이 시작된다.

 

관객의 평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예전 민간인 사찰 문제는 심각한 문제로 여겨졌다. 이 영화에 대한 관객 평가는 그다지 좋지 않았다. 이전에 나온 영화나 드라마에서 이와 유사한 장면들을 보여준 바 있어서 진부하게 느낀 관객들의 반응이 반영되었다. 그러나 <모비딕>은 픽션과 논픽션 사이에서 보다 분명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는 관객들의 좋은 평가도 있었다. 이 영화는 허먼 멜빌의 소설 '모비딕'을 소재로 한 영화이다. 박인제 감독은 영화 속의 '모비딕'은 사건의 중요한 장소이며 동시에 거대한 악을 상징하는 중의적인 뜻이 내포되어 있다고 한다. 감독은 영화의 제목을 모비딕이라고 정한 이유에 대해서 이렇게 말한다. 극 중 윤혁의 모티브가 되었던 윤석양 이병 양심선언 사건이 결정적이어서 제목으로 정했다고 밝혔다. 관객들이 '모비딕' 뜻을 모른다. 감독은 당황스러웠다. 관객들은 영화의 재미만 추구하고 그 재미에 충족이 되지 않으면 관객 평가가 나쁘게 나온다. 영화는 관객의 재미보다 영화의 내용을 전달하는 목적을 위한 것이 되어야 한다. 그 목적이 충실할 때 관객 평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스토리들이 잘 조합된 영화

<모비딕>은 스토리들이 잘 조합되어 영화를 탄탄하게 만들었다. 또 황정민이란 배우와 주연들의 열연이 가장 빛을 발휘한 영화다. 기자 3인방은 각자의 캐릭터가 잘 살아있었고, 이 밖에도 정부의 정부라는 무겁고 악랄하지만 그 무언가가 또 있을 것 같은 암시적인 배우들의 인물들도 잘 부각이 되었다. 사실적으로 영화는 무거운 분위기이다. 이런 분위기는 사람들은 싫어한다. 화끈하고, 로망이 있고, 톡 쏘는 사이다 같은 영화를 좋아하지만 <모비딕>은 조금 무거운 영화인 것은 사실. 모비딕이 주는 픽션과 논픽션 사이에서 한국의 과거와 미래를 생각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영화의 소재는 영화에서 일어난 법한 것들이다. 하지만 현실에도 일어난다. 과거를 통해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통찰하는 것은 정부, 조직에게 필요한 숙제이지만 개인에게도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이 든다. 영화의 재미가 보는 것에서 끝이 아닌 또 다른 시작을 위한 시작점이 될 수 있다는 생각도 한다. 재미있게 본 영화이다.

 

 

반응형